테마별 전기공사기사 정리 – 지선 철탑 기타 신출

지선의 경우 내용은 적은데 비해 출제빈도가 많은 것 같네요. 그래서 꼭 봐두시면 좋은 부분입니다. 단답형 단골문제에 속합니다. 철탑도 이도 계산 등의 문제와 단답형 문제들이 자주 나옵니다. 기타 신출 문제들도 일부 수록하였습니다.

아래에 제 기준으로 봤을 때 어디로 분류하기는 그렇고 신출 문제를 몇 개 정리했네요. 최근 5년 이내의 신출 문제들입니다. 물론 세부사항으로 나누면 보면 되지만, 제 기준으로는 첫 출제가 되다보니 오히려 따로 나누는 편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.

지선

3. 17 20 H주일 때 현장여건상 전주별로 별도의 보통지선 설치가 곤란하거나 1개의 지선용 근가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1개의 지선 로드 및 근가로 2단의 지선을 시설하는 지선
Y지선

4. 17 21 전주의 지선과 지선근가를 연결해주는 금구
지선로드

5. 18 21 토지의 상황이나 그 외 사유로 인하여 보통지선을 설치할 수 없을 때 전주와 전주 간, 또는 전주와 지선주 간에 시설
수평지선

6 22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한 지선의 시설 방법이다. 빈칸에 알맞은 숫자를 작성하시오.
– 지선에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은 ( 3 )가닥 이상의 연선이다.
– 지선의 지중부분 및 지표상 ( 0.3 )m 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 철봉을 사용하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근가에 견고하게 붙여야 한다.
– 도로 횡단 시 지선의 높이는 ( 5 )m이다. 다만,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로서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우는 ( 4.5 )m 이다. 보도의 경우 보도상 지선의 높이는 ( 2.5 )m 이다.

철탑

1. 22 철탑의 종류에 대한 설명
– 직선형 : 전선로의 직선부분(3° 이하인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한다. 이하 같다)에 사용 하는 것. 다만, 내장형 및 보강형에 속하는 것을 제외한다.
– 각도형 : 전선로 중 3° 초과인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하는 것
– 인류형 :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것
– 내장형 :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
– 보강형 : 전선로의 직선 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

2. 14 철탑 명칭을 쓰시오.
– 전선로의 직선부분(3도 이하의 수평각도를 이루는 곳을 포함)에 사용하는 철탑 : 직선형
– 전선로 중 수평각도가 3도를 넘고 30도 이하인 곳에 사용하는 철탑 : 각도형
– 접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철탑 : 인류형
– 전선로를 보강하기 위하여 세워지는 철탑으로, 직선철탑이 다수 연속될 경우에는 약 10기 마다 1기의 비율로 설치되는 철탑 : 내장형

4. 01 금속전선관 1본의 길이
3.66m

5 17 전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하는 철탑은 무엇인지 쓰시오. ▶ 인류형 철탑

철탑 공사

1. 12 23 송전선로 공사에 순서
굴착 – 각입 – 타설- 조립 – 연선 – 긴선

2. 04 17 21 철탑 기초 공사에서 각입
철탑의 기초작업에서 굴착 다음공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철탑의 앵커재 및 주각재 또는 주주재를 설치하는 공정.

3. 21 철탑 기초의 종류를 2가지
– 직접 기초
– 심형 기초

4. 21 철탑 조립공법을 3가지
– 조립봉 공법
– 이동식 크레인 공법
– 철탑 크레인 공법

5. 21 시가지 기타 인가가 밀집하는 지역 사용전압이 170kV 미만 경우에 특별고압 가공전선 로를 시설할 때 다음 경간
– A종 철주 또는 A종 철근 콘크리트 주 ( 75 )m
– B종 철주 또는 B종 철근 콘크리트 주 ( 150 )m
– 철탑 400m (단주인 경우에는 300m)
다만, 전선이 수평으로 2 이상이 있는 경우에 전선 상호간의 간격이 4m 미만인 때에는 ( 250 )m

장주

2. 06 편출장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▶ 전주에 완철을 설치할 때 완철을 전주의 한 쪽으로 완전히 치우쳐 설치하는 장주를 말한다

기타 신출

1. 23 태양광설비의 시설기준
모듈의 각 직렬군은 동일한 ( 단락 )전류를 가진 모듈로 구성하여야 하며 1대의 인버터(멀티스 트링 인버터의 경우 1대의 MPPT 제어기)에 연결된 모듈 직렬군이 ( 2 ) 병렬 이상일 경우 에는 각 직렬군의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배열할 것

2. 22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설비 선정과 공사
배전설비 관통부의 밀봉 가. 배선설비가 바닥, 벽, 지붕, 천장, 칸막이, 중공벽 등 건축구조물을 관통하는 경우, 배선설비가 통과한 후에 남는 개구부는 관통 전의 건축구조 각 부재에 규정된 내화 등급에 따라 밀폐하여야 한다. 관련 제품 표준에서 자소성으로 분류되고 최대 내부 단면적이 ( 710 )㎟ 이하인 전선관, 케이블 트렁킹 및 케이블 덕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내부적으로 밀폐하지 않아도 된다.
– 보호등급 ( IP33 )에 관한 KS C IEC 60529(외곽의 방진 보호 및 방수 보호 등급)의 시험에 합격한 경우
– 관통하는 건축 구조체에 의한 분리된 구획의 하나 안에 있는 배선설비의 단말이 보호 등급 ( IP33 )에 관한 KS C IEC 60529(외함의 밀폐 보호등급 구분(IP코드))의 시험에 합격한 경우

3. 그림 전기방식 – 외부전원법

4. 23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(전기철도용 변전소 제외)에는 다음의 사항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
– 주요 변압기의 ( 전압 ) 및 ( 전류 ) 또는 ( 전력 ) – 특고압용 변압기의 ( 온도 )

5. 23 조가선 시설기준
– 조가선 간의 이격거리는 조가선 2개가 시설될 경우에 이격거리는 ( 0.3 )[m] 를 유지하여야 한다.
– 조가선 시설방향은 특고압주는 특고압 중성도체와 같은 방향이며, 저압주는 ( 저압선 ) 같은 방향으로 시설한다.
– +자형 공중교차는 불가피한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시공 할 수 있다. 다만, ( T자 )형 공중 교차시공은 할 수 없다.

6. 21 22.9[kV-Y] 계통 3상 배전선로의 완철의 길이를 쓰시오.
2400㎜

7. 20 전력시스템에서 운용되고 있는 SCADA 시스템은 자동급전, 배전 사령실의 지역급전 및 배 전자동화 등에 이용된다. SCADA의 기능을 3가지
원방 감시 기능, 원격 제어 기능, 원격 측정 기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