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로 번호 뒤의 2자리 숫자는 출제년도입니다.
이번 테마도 매년 출제되는 부분입니다. 접지 예비전원 그리고 계전기입니다. 다만 계전기의 경우 출제가 조금은 뜸해진 느낌인데, 언제 어떻게 또 튀어나올지는 모르겠네요.
최근 몇 년간은 전기기사나 전기공사기사 모두 난이도가 쉬운 편이었습니다. 전기기사의 공사 관련 허용으로 인해 인기가 더더욱 시들긴 했는데, 아무래도 경쟁력 때문에 쌍기사를 많이 따는 것 같네요. 전기기사를 따셨다면, 한 번 해 볼만 하다고 생각됩니다.
접지
1. 22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 접지 규정
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는 전로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, 이상전압 및 대지전압의 억제를 위하여 직류 2선식의 임의의 한 점 또는 변환장치의 직류측 중간점, 태양전지의 중간점 등을 접지하여야 한다. 다만, 직류 2선식을 다음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 가. 사용전압이 ( 60 )V 이하인 경우 나. 절연감시장치 또는 절연고장점검출장치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( 경보장치 )를 시설하는 경우
2. 22 계통접지 종류 중 TN 계통 접지방식을 중성선 및 보호도체 배치 및 접속방식 따라 분류 3 종류
TN-C, TN-S, TN-C-S
등전위 본딩
1. 23 보조 보호등전위본딩 도체
케이블의 일부가 아닌 경우 또는 선로도체와 함께 수납되지 않은 본딩도체는 다음 값 이상이어야 한다.
– 기계적 보호가 된 것은 구리도체 ( 2.5 )㎟, 알루미늄 도체 ( 16 )㎟
– 기계적 보호가 없는 것은 구리도체 ( 4 )㎟, 알루미늄 도체 ( 16 )㎟
2. 21 보호 등전위 본딩
【보호 등전위 본딩】
1. 대형 건축물 등으로 1개소에 집중하여 인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본딩도체를 ( 1 )개의 본딩바에 연결한다.
2. 수도관・가스관의 경우 내부로 인입된 최초의 밸브 ( 후단 )에서 등전위 본딩을 하여야 한다.
3. 건축물・구조물의 철근, 철골 등 금속보강재는 등전위본딩을 하여야 한다.
【비접지 국부 등전위 본딩】
1. 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에서 다음의 경우 국부 등전위 본딩을 하여야 한다. 가. 전기설비 상호 간이 ( 2.5 )m 이내인 경우 나. 전기설비와 이를 지지하는 금속체 사이
2. 전기설비 또는 계통외도전부를 통해 대지에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.
3. 10 17 주 접지단자에 접속되는 등전위본딩선의 단면적은 다음의 재료일 때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지 쓰시오.
– 동 : 6㎟
– 알루미늄 : 16㎟
– 철 : 50㎟
접지 기타
1. 20 전력계통에서 적용하는 보호방식 중에서 방사성 계통의 단락보호에 적합하며, 계전기 간의 동작 시간차로 고장구간을 차단하는 것으로 주보호와 후비보호를 동시에 할 수 있어 경제적 이지만 보호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는 것의 명칭을 적으시오
과전류 계전방식
2. 14 20 “발전기 또는 변압기 등 전력계통의 중성점을 접지시키는 것으로 전력계통에 설치한 보호 계 전기로 하여금 고장점을 판별시킬 목적으로 접지를 하며,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선간전압보다 낮은 80[%] 이하의 계통으로 직접접지 계통이 이에 속한다.”
유효 접지계
3. 12 16 19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접지방식에 대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.
– 1선 지락고장시 충전전류에 의해 간헐적인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전압이 발생하므로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사용되지 않는 접지방식은? : 비접지방식
–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높지 않아 유효접지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초고압 송전 선로에서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여 우리나라 송전계통에 사용되고 있는 접지방식은? : 직접접지방식
4. 06 09 16 요구하는 접지의 목적과 접지저항값을 얻기 위해서는 대지의 구조에 따라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지공법을 채택하여야 한다. 접지공법을 대별하면 봉상접지공법, 망상접지공법(mesh 공법), 건축 구조체 접지공법이 있다. 이 중 봉상접지공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.
– 봉상접지공법에는 심타공법과 병렬접지공법이 있다.
심타공법 : 접지봉을 지표에서 타입하는 방법으로 접지봉을 직렬 접속한다. 병렬접지공법 : 독립 접지봉을 여러 개 묻고 각 접지봉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
예비전원 전기저장장치
1. 03 07 10 12 13 예비전원용 고압발전기 또는 저압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 및 점검을 할 수 있는 곳에 ( 개폐기 ), ( 과전류차단기 ), ( 전압계 ), ( 전류계 )
2. 22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곳에는 다음의 사항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.
가. 축전지 출력 단자의 ( 전압 ), ( 전류 ), ( 전력 ) 및 충방전 상태
나. 주요변압기의 ( 전압 ), ( 전류 ) 및 ( 전력 )
3. 21 상시전원의 정전 또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안정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 기 위한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?
UPS(무정전 전원공급장치)
4. 03 17 20 축전지의 다음과 같은 현상이 무엇인지 적으시오.
∙ 극판이 백색으로 되거나 백색 반점이 발생하였다.
∙ 비중이 저하하고 충전용량이 감소하였다.
∙ 충전 시 전압 상승이 빠르고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다 또는 충전 시 전압 상승이 빠르고 가스 발생이 심하나 비중이 증가하지 않는다
설페이션 현상
5. 20 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면 극판의 황산납이 회백색으로 변하고 내부저항 이 증가하여 충전 시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고 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을 적으시오.
설페이션 현상
6. 18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운전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
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는 병렬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수전용 차단기와 발전용차단기 사이에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( 인터록 )을 시설해야 하며 ( 자동 절환 개폐기 )를 사용해 야 한다.
계전기
1. 23 다음은 과전류계전기의 동작시간에 따른 분류
– 정정된 최소동작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것으로써 0.5~2초 정도의 짧은 시간에 동작하는 것을 고속도 계전기라고 한다. : 순시 계전기
– 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전류의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작하는 것 : 정한시 계전기
– 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흘러서 동작할 때 전류가 클수록 빨리 동작 하고, 전류가 작을수록 느리게 동작하는 것 : 반한시 계전기
2. 22 알맞은 계측기 또는 측정방법을 쓰시오.
– 변압기의 절연저항 : 절연저항계 또는 메거
– 검류계의 내부저항 : 휘스톤 브리지
– 전해액의 저항 : 콜라우시 브리지
– 백열전구의 필라멘트(백열상태) : 전압강하법
– 고저항 : 절연저항계 또는 메거
3. 21 절연구조에 따른 변류기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.
가스형, 몰드형, 유입형